2025년 보건, 복지, 고용 복지 예산안이 확정되었습니다. 2025년 정부 총예산의 20%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125조 7천억원이 배정되었습니다. 지금부터 2025년 복지 예산 중 취약계층 지원 복지 정책이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.

기초생활수급가구(4인가구 기준)
2025년에는 기초생활수급가구(4인가구 기준) 연간 최대 3천 86만 원 수준의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기초생활보장 4대 급여 및 4대 바우처 추가지원 변경사항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기초생활보장 4대 급여
▶ 생계급여 : 연 2,200만 원 → 연 2,341만 원
▶ 의료급여(건강생활유지비) : 연 7만 원 → 연 14만 원
※ 1인당 연간 진료비 지원액 938만 원('25. 기초 1종)
▶ 주거급여(서울기준) : 연 632만 원 → 연 654만 원
▶ 교육급여(고등자녀 1인 기준) : 연 73만 원 → 연 77만 원
4대 바우처 추가지원
▶ 농식품 바우처(신규) : 월 10만 원(4인 가구)
▶ 에너지바우처 : 평균 동계 31.4만 원, 하계 5.3만 원 지원
▶ 통합문화이용권 : 연 13만 원 → 연 14만 원(1인)
▶ 스포츠강좌이용권 :월 10만 원 → 월 10.5만 원(1인)
저소득 청년 자립 지원
2025년 저소득 청년 복지정책은 희망저축계좌 증액, 자활성공지원금 등 지원 등 혜택이 늘었습니다.
어떤 혜택이 추가되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자산형성 지원
▶ 희망저축계좌 Ⅱ : 정부매칭 금액이 360만 원 →720만 원으로 증액
자금지원(신규)
▶ 청년자립자금 : 최대 1,200만 원 지원(2% 고정금리)
자립성공 인센티브(신규)
▶ 자활성공지원금 : 최대 150만 원(※ 탈수급 후 6개월 근속 시 50만 원, 1년 근속 시 100만 원 지원)
이상으로 2025년 취약계층 복지 예산 변경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꼼꼼히 체크하셔서 늘어난 혜택을 놓치지 말고 받으시길 바랍니다.

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
2024년 2학기 희망사다리 1유형 장학금(중소기업 취업연계) 신청방법
≣ 목차중소·중견기업 취업 및 창업 희망자, 기취·창업자를 위한 2024년 2학기 희망사다리 1유형 장학금(중소기업 취업연계) 신청기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. 선정이 되시는 분들은 대학등록금
pastelbokji.tistory.com
경기도 3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방법 및 사용처
≣ 목차경기도 3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 기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.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연간 최대 100만 원(분기 25만 원)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니 지원대상 및 신청기간 등을 자세히 알아
pastelbokji.tistory.com